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 시작합니다. 정치부에서 국회 취재하고 있는 김유빈 기자 나왔습니다. <br><br>Q1. 김 기자, 정치권 선거 비용은 꼼꼼히 정산을 해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회계보고를 하지 않습니까. 2년 전 민주당 전당대회 때 각 후보들이 돈을 얼마나 썼는지 확인이 됩니까?<br> <br>네, 저희가 중앙 선관위를 통해 '2021년 민주당 전당대회 회계내역서'를 입수했는데요. <br><br>문건에 따르면, 송영길 당시 당대표 후보는 1억 9700 만 원 정도를 썼고, 홍영표, 우원식 후보는 각각 1억 8천, 1억 7천 만원을 쓴 것으로 나옵니다.<br><br>모두 후원금 최대 한도액인 3억 원에는 못미치는 금액인데요.<br> <br>당시 코로나 시국이어서 이전 전당대회 보다는 적게 쓴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각 후보들은 주로 사무실 임대료나 홍보물 제작비, 여론조사 비용 등을 후원금에서 충당했는데요. <br> <br>특히 송영길 후보의 경우, 지역일정에 들어가는 숙박비나 개인 식비들은 후원금에서 사용하지 않고 사비로 처리했습니다. <br><br>Q2. 지금 논란이 되는 돈은 공식 지출에는 안잡히는 거죠?<br> <br>네, 송영길 전 대표 전당대회 후원회 회계보고에 따르면, 검찰이 현재 수사 중인 현역의원들이나 지역본부장들, 지역상황실장에게 전달된 돈에 대한 기록은 없습니다. <br> <br>검찰은 이렇게 회계보고에 잡히지 않는 돈이, 전당대회 직전에 현역의원과 캠프 관계자 등 최소 70명에게 건너간 것으로 파악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당시 녹취를 들어보시죠. <br> <br>[강래구 한국감사협회장 - 이정근 전 사무부총장 통화(2021년 4월 27일)] <br>"저녁 먹을 때쯤 전화 올 거예요. 그러면 10개 주세요. (누구한테? 윤한테?) 예." <br> <br>[이정근 전 사무부총장 - 윤관석 의원과 통화(2021년 4월 27일)] <br>"어디세요, 지금? 제가 저기 잠깐 봬야 돼서." <br> <br>[윤관석 의원 -이정근 전 사무부총장과 통화(2021년 4월 27일)] <br>"나는 지금 여기 앞에 OOO에서 의원들하고 약속 있어서 나가는 중인데. OOO 앞으로 와. (OOO 앞에서 잠깐 봬요)" <br><br>Q3. 비공식 지출 주로 어디에 쓰인 걸로 추정되나요?<br> <br>당내 인사들의 얘기를 종합해보면, 주로 지역 대의원과 당원들과의 밥값에 비공식 지출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한 정치권 인사에 따르면, "후보들이 지역에 내려가기 전 참모들이 당원들을 만나 먼저 바닥을 다져놓는다"고 하는데요. <br><br>이런 비용이 수천 만 원에 달해서 후보 사비로는 충당할 수가 없고, 이렇게 음성적으로 이뤄진다는 겁니다. <br> <br>해당 지역 선거운동을 총괄하는 지역본부장, 그리고 선거운동 실무자인 지역상황실장에게 넘겨진 돈은 그런 성격일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입니다.<br><br>녹취 다시 한번 들어보시죠. <br> <br>[이성만 / 더불어민주당 의원(2021년 3월 말)] <br>"돈, 내가 내일 주면 안 돼? 내일? 오전 10시에 갈 테니까." <br> <br>[이정근 전 사무부총장- 강래구 한국감사협회장 전화통화(3월 말)] <br>"이따 이성만이 10시에 만나자대. (왜? 아 비용 준다고?) 응 <br>(받으면 50만원씩만 정리해서 50만원씩 봉투를 나한테 만들어서 줘)" <br> <br>반면 4월 28일 투표 직전에 의원들에게 건네진 돈은 성격이 좀 다르다는 설명인데요. <br><br>당시 송영길 캠프 사정을 잘 아는 민주당 관계자는, "그 시기에 돈을 줬다면 막판 표 단속을 위해 '대의원들 신경써주라'는 취지였을 것"이라고 전했습니다. <br><br>Q4. 만약 비공식 지출 행위로 판단이 된다면, 처벌을 받게 되는 겁니까?<br> <br>당 대표 경선 시 매수 행위에 해당돼 처벌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> <br>정당법 50조에 따르면 금품이나 향응을 수수한 자보다 지시를 한 자를 더 엄하게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2008년 한나라당 돈 봉투 사건 때도 박희태 전 국회의장을 비롯해 금품을 지시한 자들이 모두 유죄 선고를 받았습니다. <br><br>당시 재판부는 "정당제와 대의제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것"이라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<br />김유빈 기자 eubini@ichannela.com